1. 응급 조치모드[부팅중 'e'를 눌러 진입]에 진입한다.
2. rhgb quiet LANG=ko KR.UTF-8 라인을 삭제 후 init=/bin/bash를 입력한다.
입력 후 Ctrl+x를 눌러 root권한의 쉘에 진입한다.
3. mount -o remount, rw / 를 입력하여 해당 쉘에서 읽기 쓰기가 가능하도록 재마운트 한다.
passwd 명령어를 이용하여 root의 패스워드를 새로 입력한다.
(all authentication tokens updated successfully)가 뜨면 정상적으로 패스워드 변경이 이루어 진것
touch /.autorelabel 명령어를 입력한다.
exit 를 눌러 부팅을 정상 진행한다.
other) 혹시나 kernel panic에 걸릴 경우 부팅은 되지만 로그인 화면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다.
이럴 경우에는 다시 응급복구 모드에 진입 후 vi /etc/selinux 로 selinux의 구성을 변경한다.
SELINUX=enforcing =====> SELINUX=disabled
이후에 root로 로그인하여 touch /.autorelabel 입력 후 위의 설정을 원복한다.
'IT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2TB 이상 디스크 사용하기(parted 명령어 사용법) (0) | 2022.04.13 |
---|